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될까? (2025 최신)

by infornara1 2025. 6. 26.
반응형
 

기초생활수급자 심사에서는 통장에 얼마가 들어 있는지, 어떤 이유로 돈이 입금됐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는 생계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보호받지만, 잘못된 정보나 오해 때문에 탈락되는 경우도 많아요. 

 

 

오늘은 꼭 알라야 할 두 가지,

 

통장잔액, 잔고 기준

탈락되는 조건을

 

쉽게 정리해드릴께요!!

 

 

 

✅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고에 얼마까지 괜찮을까?

“통장에 100만 원 넘으면 안 된다는 말, 맞아요?”

👉 정확한 기준은 ‘금융재산 공제 기준’입니다

 

2025년 기준 공제액은 아래와 같아요.

 

통장잔고에서 공제되는 금융재산은 1인 가구 500만 원까지 공제되며,  2~3인 800만 원까지 공제. 4인 이상 1,000만 원 공제까지 공제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

✔ 즉, 1인 가구가 통장에 500만 원 이하로 있으면 감안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이면, 초과 금액을 ‘소득으로 간주해서 생계급여가 깎일 수 있어요.

 

 

📌 예시로 알아보기

1인 가구 통장에 700만 원 있음

→ 500만 원은 공제,

→ 200만 원은 매달 4.17% = 약 8,340원이 소득으로 계산

→ 생계급여에서 차감됨

 

 

⚠ 주의할 점

  • 6개월 이상 통장에 고액이 그대로 있으면 → “생활에 쓰지 않는 여유자금”으로 판단
  • 자녀가 보낸 큰 금액(예: 100만 원 송금) → 출처 불명 시 ‘소득’으로 간주
  • 보험 해약환급금, 예금, 펀드 등도 모두 포함

 

 

⚠ 기초생활수급자 탈락기준

“한번 받으면 계속 받을 수 있는 거 아냐?”

그렇지 않습니다. 매년 심사를 다시 하며, 아래 항목에 해당되면 탈락할 수 있어요.

 

🔸 수급 탈락 주요 사유

소득 증가

  • 기초연금, 알바비, 연금, 자녀 송금 등
  • 단, 일정 금액 이하의 기초연금은 일부 제외됨

재산 증가

  • 차량 구입, 부동산 소유, 고액 예금 등

부양의무자 소득 증가

  • 자녀가 소득이 높아진 경우
  • 단, 2023년부터 대부분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되었지만 고소득자는 여전히 영향 있음

통장잔액 과다 보유 및 미신고 자산 발견

 

🧾 기초생활수급자 기본 조건 (요약)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50% 이하일 것
  • 1인 기준: 약 73만 원 이하
  • 2인 기준: 약 122만 원 이하
  • 나이제한 없음, 65세 이상은 우선심사 대상

복지로에서 대상자인지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기초생활수급 대상자 조회

 

 

💰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 생계급여: 월 73만~122만 원까지 보장
  • 의료급여: 병원비 거의 전액 지원 (본인부담금 없음에 가까움)
  • 주거급여: 월세 일부 또는 임대주택 지원
  • 기초연금: 추가로 월 최대 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음
  • 에너지바우처: 여름·겨울 냉난방비 일부 지원
  • 노인일자리: 월 27만 원 내외 추가 소득 가능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받을 수 있는 모든 복지서비스 및 지원금을 한번에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서비스 조회하기

 

 

 

✅부모님이 해당될 수 있을까?

✔ 만 65세 이상

✔ 단독 거주 또는 소득 낮은 가구

✔ 통장잔액이 공제 기준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가능성 높습니다!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가능하고,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어르신들이 이런 내용 몰라서 수십만 원 놓치는 경우 많습니다. 이 글을 부모님이나 주변 분께 꼭 공유해 주세요!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

 

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기초생활수급자 통장잔액 기준, 잔고 많으면 탈락

반응형